이런일도 있다.

英옥스퍼드 "빠르면 9월, 코로나 백신 나온다"

얼 골 2020. 4. 12. 14:25

길버트 교수 "백신 개발 가능성 80%"
中 연구팀은 2차 임상시험 돌입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진이 이르면 오는 9월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완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백신 개발이 성공하면 곧바로 대중이 이용할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12일 영국 더타임스에 따르면 세라 길버트 옥스퍼드대 교수 연구팀이 2주일 내에 백신의 인체 실험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 연구팀은 코로나19 백신 개발 경쟁에서 선두권으로 꼽히는 세계 10여개 팀 중 하나다.

길버트 교수는 "현재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이 효과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며 "단순한 짐작이 아니라 매일 축적하는 데이터를 살펴보면 (백신 성공 가능성이) 80% 정도"라고 말했다. 이어 9월쯤 백신 개발에 성공할 수 있을 지 묻자 "그렇다"고 답했다.

길버트 교수 연구팀은 영국에서 코로나19 백신의 개발 가능성이 가장 높은 팀으로 꼽혀왔다. 잉글랜드 공중보건국과도 협업하고 있다.


영국 정부는 수 천만파운드를 투자해 대량 생산 설비를 구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더타임스는 백신 개발이 성공하면 곧바로 대중이 이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옥스퍼드대 연구진이 개발 중인 백신의 이름은 'ChAdOx1'이다. 복제 능력이 없는 코로나바이러스 유전자(DNA)를 인체에 주입해 면역력이 생기도록 도와준다. 말라리아와 에볼라바이러스,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백신도 이 같은 방식으로 작용한다. 백신은 체세포에 주입하는 근육 주사 방식으로 투입하게 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백신 개발은 동물 실험 후 3단계 임상 시험을 거치게 된다. 1차 임상에서는 소규모 집단에 백신을 투여해 면역 반응을 확인한다. 2차에선 위험군을 포함해 수 백명을 대상으로 테스트한다. 3차 단계는 수 만명을 대상으로 백신 효과와 안정성을 최종적으로 점검하는 절차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 백신 개발까지 보통 8~10년이 걸린다. 하지만 코로나19 백신은 더 짧은 기간 내 개발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각 국이 의약품 심사를 신속히 진행하는 패스트트랙 제도를 도입하거나 동물과 임상 시험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