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환경의학연구소에 의뢰해 뿌리는 모기약과 태우는 모기향, 전기를 이용한 모기약을 사용한 뒤 실내 공기질 변화를 측정해봤습니다.
밀폐된 공간에서 20분간 모기향을 태운 결과, ㎥당 22.9μg였던 미세먼지가 60.6μg으로, 15.8μg였던 초미세먼지는 55μg으로 각각 3배 가까이로 늘었습니다.
모기향을 밤새 태우는 것을 감안하면 초미세먼지 나쁨 수준에서 잠을 자는 셈입니다.
뿌리는 모기약은 더 심각했습니다.
10초간 모기약을 뿌리고 20분 뒤 측정해 보니 미세먼지가 20배나 늘어 426.5μg으로 '매우 나쁨' 수준이 됐고, 초미세먼지도 87.3μg으로 '나쁨' 수준이었습니다.
신경계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도 2배로 증가했습니다.
[조용민 연구교수/고려대 환경의학연구소 : 미세 입자 사이즈가 더 작기 때문에 호흡기 더 깊숙한 곳까지 파고 들어갈 수 있고, 호흡기 통해 전달된 성분들이 혈액으로 온몸에 퍼질 수도…]
전문가들은 미세먼지와 화학물질의 피해를 막기위해서는 모기향을 태우거나 모기약을 뿌릴 경우 반드시 환기를 시켜야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조심하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병원 8곳서 6년간 가습기 살균제 사용" (0) | 2016.08.14 |
---|---|
"불량 선글라스가 백내장·각막손상 부른다" (0) | 2016.06.23 |
하천·지반학회 "석촌호수 물빠짐, 제2롯데월드가 원인" (0) | 2016.06.21 |
중국산 마늘, 국산으로…'포대갈이' (0) | 2016.06.21 |
간호사 실수로 군인 사망'…병원은 조직적 증거 은폐 (0) | 2016.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