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

복싱 김득구

얼 골 2018. 11. 18. 13:23

1982년 11월 14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복싱협회(WBA) 라이트급 타이틀전에서 미국의 레이 맨시니에게 도전하여 14회에 KO패하고 나서 의식을 잃었던 김득구(1955~1982)가 나흘 뒤에 사망했다. 챔피언이 되어 가난을 벗어나 펴려던 그의 꿈도 같이 스러졌다. 향년 27세.
강원도 고성에서 5남매의 막내로 태어난 김득구는 2살 때 부친을 여의고 어머니가 개가하면서 의부의 성을 따라 김득구가 되었다. 가난하게 자라다 1972년 이복형제들과의 갈등으로 가출하여 상경하였을 때 그는 열일곱 살이었다.         


  그는 신문 배달, 구두닦이, 중국집 배달원 등 온갖 허드렛일을 하면서 살다가 검정고시를 거쳐 천호상고에 진학했다. 그가 권투를 시작한 것도 이 무렵이다. 아마추어로 뛰다가 1978년 프로가 되었다. 1980년 한국 챔피언, 1982년 2월엔 동양 챔피언 타이틀을 거머쥐면서 세계복싱협회(WBA) 랭킹 1위가 되었다.    





 1982년 11월 14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시저스 팰리스 호텔 특설 링에서 열린 WBA 라이트급 챔피언 전에서 당시 챔피언 레이 맨시니에게 도전하게 된 것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였다. 목숨을 걸고 타이틀을 빼앗아 오겠다는 의지의 표시로 그는 '모형 관'을 가지고 태평양을 건넜다    





  경기에서 9회까지만 해도 김득구의 저돌적 공격이 다소 우세했다. 그러나 10회에 들자 그는 지쳐 있었고 챔피언 맨시니는 공격을 주도하기 시작했다. 11회에는 다리가 풀려 있었지만, 김득구는 간신히 정신력으로 버텨내고 있었다. 14회, 공이 울리자 용수철처럼 튀어나간 김득구는 맨시니의 일격에 쓰러졌고, 다시 일어나지 못했다.  사인은 뇌사였다. 당시 뇌사판정 뒤 인공호흡기를 떼어내는 데 가족 동의가 필요하게 되자 그의 어머니가 미국으로 건너갔다. 김득구는 심장과 신장을 미국인에게 주고 고단했던 세상과 이별했다. 
엄청난 투혼에도 불구하고 결국 링에서 쓰러진 권투 선수에 대한 국내 여론은 상당히 비감한 민족 감정을 불러일으켰던 듯하다. 그의 장례가 권투인장으로 치러지고, 체육훈장(백마장)까지 추서된 것은 그런 분위기를 반영한 것이었다.


  1981년에 신춘문예로 등단한 곽재구 시인은 시 <김득구>를 써 그의 죽음을 추모했다. 시인은 김득구의 도전을 '조선낫'과 '조선 맷돌'로 표현했고, 가난한 청년의 슬픔과 기다림을, 그리고 무너져 내린 희망을 노래했다.       



   김득구의 죽음은 한국 사회뿐 아니라 미국 사회에도 깊은 충격을 던졌다. 두 달 후에, 그의 어머니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촉망받던 복서였던 상대 선수 레이 맨시니도 트라우마에 시달리다가 권투를 그만두었다. 국내에서도 1960년대 이후로 최고의 스포츠로 인정받던 권투가 위험한 스포츠라는 인식이 생기기 시작했고 미국 의회에서 권투의 위험성에 대한 청문회가 열리기도 했다.
 
결국 권투계는 세계 챔피언전 15라운드 경기를 12라운드로 줄였고, 라운드 간 휴식시간을 60초에서 90초로 늘리면서 스탠딩다운제를 도입해야 했다. 올림픽의 권투 경기에서도 1984년 하계올림픽부터 헤드기어 착용을 의무화했다.           
             

'얼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대 대통령 한자리' 사진  (0) 2019.08.18
부시 전 美 대통령, 盧 전 대통령 10주기 추도식 참석  (0) 2019.05.13
이언주   (0) 2018.11.18
차범근  (0) 2016.11.01
신격호 신영자  (0) 2016.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