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 없는 생물 '베이츠 의태'..외모에 더해 '쉬익' 소리까지
국제 학술전문 출판사 '테일러 앤드 프랜시스 그룹(Taylor & Francis Group)'에 따르면 엘패소 텍사스대학의 엘리 그린바움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콩코 큰두꺼비(Congolese giant toad·Sclerophrys channingi)가 잡아먹히지 않기 위해 맹독성의 가분살무사(Gaboon viper)로 위장하고 흉내를 낸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연구팀은 콩고 큰두꺼비의 행동이 동물이 잡아먹히지 않으려고 포식자가 기피하는 맛이 없거나 위험한 동물의 형태·색 따위를 모방하는 '베이츠 의태(擬態)'로 확신했다. 베이츠 의태는 독이 있는 것처럼 위장한 나비에서 가장 널리 알려져 있고 여러 생물에게서 드물지 않게 나타나지만 양서류가 독사를 의태하는 것이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가분살무사는 독니(毒牙)가 독사 중 가장 길고 독도 어떤 뱀보다 많이 내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10년에 달하는 현장조사와 직접 관측을 통해 이를 확인했으며, 포식자를 가장한 실험도 진행했다. 콩고 큰두꺼비는 아프리카 중부 다우림에서, 가분살무사는 아프리카 중부와 동부, 남부 등지에서 서식하는 종을 야생에서 산 채로 붙잡은 것과 박물관에 박제된 것 등을 다양하게 비교했다.
그 결과, 콩고 큰두꺼비 몸의 형태와 색은 가분살무사의 머리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콩고 큰 두꺼비 등의 짙은 갈색 점 두 개와 등에서 아래쪽으로 난 짙은 줄, 삼각형 몸매, 햇볕에 탄 등과 갈색 옆구리가 선명한 구분되는 점, 부드러운 피부 등이 비슷한 것으로 분석됐다.
가분살무사는 위협을 받는다고 느끼면 공격을 하기 전에 고개를 들고 길고 큰 '쉬익' 소리를 내는데, 콩고 큰두꺼비도 풍선에서 바람이 서서히 빠질 때 나는 것과 같은 소리를 내는 것으로 보고됐다.
'포토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블 우주망원경 '우주 얼굴' (0) | 2019.10.29 |
---|---|
가야 시대 유행했던 금 귀걸이 (0) | 2019.10.23 |
맹독성 파란고리문어 (0) | 2019.10.04 |
최고 전압 '860볼트' 신종 전기뱀장어 (0) | 2019.09.11 |
최동원 동상 (0) | 2019.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