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옥전 28호분 출토 금 귀걸이. 문화재청 제공
1,500여년 전 가야문화권에서 유행했던 금 귀걸이 여러점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이 된다.
문화재청은 ‘경남 합천 옥전 28호분 출토 귀걸이’를 비롯한 가야문화권 금 귀걸이 3쌍 등 유물 5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들 유물 5건은 1980년대 발굴조사된 합천 옥전, 함안 마갑총 고분 등 대표적인 가야 고분에서 출토된 것들이다. 제작 시기는 5~6세기로 추정된다.
옥전 28호분에서 출토된 금 귀걸이 한 쌍은 1985년에서 1986년까지 이뤄진 경상대 박물관의 발굴조사에서 출토됐다. 사슬고리나 알파벳 에스(S)자형 금판고리를 연결해 기다란 형태를 만들었다. 현존하는 가야 시대 ‘긴 사슬 장식 금 귀걸이’ 중 가장 화려하고 보존 상태가 뛰어나며 신라, 백제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가야의 독창적인 기술을 보여주는 유물로 평가된다.
문화재청은 “이와 유사한 형식의 금 귀걸이는 대체로 5세기 가야 문화권에서 주로 유행했다”며 “5세기 후반에서 6세기에는 일본에도 영향을 끼쳐 가야귀걸이와 유사한 작품이 다수 전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합천 옥전 M4호분에서 출토된 금 귀걸이도 좌ㆍ우 한 쌍이 온전히 남아 있다. 무덤의 주인공이 귀에 달았던 곳에서 발견돼 실제 사용된 사실도 확인됐다. 가야 귀걸이의 가장 대표적이고 특징적인 양식이었다. 가늘고 둥근 주고리(세환이식ㆍ細環耳飾) 아래에 속이 빈 공 모양의 장식을 달았고, 그 아래 심엽형(心葉形) 장식을 달고 마지막으로 산치자 열매 모양의 입체형 장식을 더했다.
특히 장식마다 금 알갱이를 테두리에 붙이거나 금선(金線) 형태를 만든 누금세공기법(鏤金細工技法), 금판을 두드려서 요철(凹凸) 효과를 낸 타출기법(打出技法) 등 다양한 공예기법이 적용돼 가야 시대 금속세공기술이 매우 발달했음을 보여준다.
합천 옥전 M6호분 출토 금 귀걸이. 문화재청 제공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큰 칼 일괄. 문화재청 제공
이 밖에도 문화재청은 1987년~1988년 경상대 박물관 조사 과정에서 출토된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큰 칼 일괄, 1992년 함안 마갑총에서 출토된 말갑 옷 및 고리자루 큰 칼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포토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양의 수컷 아기 수달 (0) | 2019.11.06 |
---|---|
허블 우주망원경 '우주 얼굴' (0) | 2019.10.29 |
맹독성 독사 행세한 두꺼비 위장술 (0) | 2019.10.22 |
맹독성 파란고리문어 (0) | 2019.10.04 |
최고 전압 '860볼트' 신종 전기뱀장어 (0) | 2019.09.11 |